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비대면부터 방문까지 참여하는 방법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주민등록상의 주소와 실제 거주 여부를 일치시키기 위한 전국 단위 점검입니다. 올해는 비대면(모바일)방문 두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미참여 또는 중점 대상 세대는 현장 방문이 진행됩니다. 아래에 비대면 → 방문 순서로 참여 방법을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불필요한 인용 토큰·깨진 참조 표기를 모두 제거했습니다.)

1. 조사 개요

  • 대상: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모든 세대(전 국민)
  • 목적: 위장 전입 방지, 복지 사각지대 해소, 정확한 행정 서비스 제공
  • 방식: 비대면(정부24 앱) 참여가 원칙, 미참여 세대 및 중점 세대는 방문 조사

2. 일정 한눈에 보기

  • 비대면 조사: 2025년 7월 21일(월) ~ 8월 31일(일)
  • 방문 조사: 2025년 9월 1일(월) ~ 10월 23일(목)

3. 비대면 참여(정부24 앱) 방법

  1. 스마트폰에 정부24 앱 설치 및 최신 업데이트
  2. 앱 실행 → 메인 배너 ‘주민등록 사실조사’ 선택
  3. 휴대폰·공동인증서 등으로 본인 인증
  4. 세대 구성·주소 등 표시 정보 확인 → 사실 여부 응답
  5. 변경 사항이 있으면 ‘사실과 다름’ 선택 후 안내에 따라 정정 절차 진행

Tip: 위치 확인을 위해 GPS 권한을 허용해야 하며, 공동주택 내 GPS 오차가 발생하면 재시도하거나 방문 조사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4. 방문 조사 안내

  • 대상: 비대면 미참여 세대, 100세 이상 고령자, 장기 거주불명자, 사망 의심자, 복지 취약 세대, 장기 결석·미취학 의심 아동이 있는 세대 등
  • 방법: 읍·면·동 공무원 또는 이·통장이 신분증 패스를 착용하고 세대를 방문하여 사실 확인
  • 주의: 공무원을 사칭한 방문 예방을 위해 신분증 확인, 지자체 콜센터 재확인 권장
방문 조사 확인 장면 연출 이미지

5. 준비물·확인사항

  • 본인 확인 수단: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 주소 증빙(필요 시): 임대차계약서, 관리비 고지서, 우편물 등
  • 세대 구성 변동(전입·전출·출생·사망)이 있었다면 증빙 서류를 미리 준비

6. 불이익 및 유의사항

  • 미응답·허위 응답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음
  • 주민등록 정보가 실제와 다르면 각종 복지·행정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발생
  • 전화·문자 스미싱 주의: 조사 안내를 사칭한 링크 클릭 금지, 반드시 정부24 앱 또는 지자체 공식 채널 이용

7. 요약 표

구분 기간 참여 방법 비고
비대면 조사 2025.07.21 ~ 08.31 정부24 앱 → 배너 선택 → 본인인증 → 사실 확인 GPS 권한 필요
방문 조사 2025.09.01 ~ 10.23 공무원·이/통장 신분증 패스 확인 후 현장 조사 중점 대상 세대 포함

8. 자주 묻는 질문(FAQ)

Q1. 앱 참여가 어려우면 어떻게 하나요?

거주지 주민센터에 문의해 도움을 받거나, 일정에 따라 방문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Q2. 세대 정보가 틀린데 어떻게 정정하나요?

비대면 설문에서 ‘사실과 다름’을 선택하면 추가 안내가 제공됩니다. 필요한 경우 주민센터에서 정정 신고를 진행합니다.

Q3. 보이스피싱이 걱정돼요.

정부24 앱 외 링크·문자는 열지 마세요. 방문자는 항상 신분증 패스를 제시합니다. 의심되면 즉시 주민센터로 사실을 확인하세요.

9. 결론

비대면 참여가 가장 빠르고 편리합니다. 기간 내 앱에서 사실조사를 마치고, 변경 사항은 즉시 정정해 주세요. 부득이하게 비대면을 놓쳤거나 중점 대상 세대라면 방문 조사에 적극 협조해 주시면 됩니다. 정확한 주민등록은 나와 이웃의 복지·행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POST ADS1

POST ADS 2